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당무우선권이란? 김문수 후보의 당무 우선권 발동, 그 의미와 배경

by 하부카부 2025. 5. 7.
반응형
출처:SBS

당무우선권, 대체 무엇인가요?

정치 뉴스를 보다 보면 '당무우선권'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최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권한을 발동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많은 분들이

"도대체 당무우선권이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운 거지?"라는 궁금증을 갖게 되셨을 겁니다.

당무우선권은 그대로 '당의 업무(당무) 우선적으로 결정할 있는 권한' 의미합니다.

국민의힘 당헌 74조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으며,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사람에게 선거일까지 당무 전반에 관한 모든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 대선 후보가 선거 전략, 인사, 캠페인 당의 핵심 의사결정을 주도할 있도록 특별히 보장된 권한입니다.

제도가 도입된 배경에는 과거 대표(총재) 곧바로 대선 후보가 되는 비민주적 구조에 대한 비판이 있었습니다.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고, 대선 국면에서는 후보에게 실질적인 리더십을 부여해 선거를 효율적으로 치르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김문수 후보가 당무우선권을 '발동'했다는 의미

2025 조기 대선 국면에서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자연스럽게 당무우선권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지도부와 후보 간에 '단일화' 시기와 방식,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사무총장 인선 주요 사안을 두고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후보 선출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속돼 당무우선권 침해 행위는 즉시 중단돼야 한다"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지도부가 단일화 협상을 압박하거나, 자신이 지명한 사무총장 인선을 거부하는 등을 '당무우선권 침해' 규정했습니다. 

, 대선 후보로서 본인이 주도적으로 선거 전략과 인사를 결정할 권리가 있는데,

지도부가 이를 방해하고 있다고 것입니다.

특히 후보는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문제에서

" 시각부터 단일화는 전적으로 대통령 후보가 주도한다", 지도부의 개입을 경고하고,

필요하다면 '당무우선권을발동'관련업무를직접챙기겠다고선언했습니다.

 

당무우선권, 어디까지 있나? 한계와 실제 영향

당무우선권은 대선 후보에게 강력한 리더십을 부여하는 제도이지만, 무제한의 '절대권력' 아닙니다.

실제로 당헌·당규에 따라 최고위, 전당대회, 전국위원회 기존의 민주적 의결 절차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지도부는 "어느 법을 준용하더라도 후보자의 전권을 인정하는 경우는 없다",

후보가 당헌·당규 위에 군림할 없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 후보의 결정을 당이 존중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당무우선권이 당헌·당규를 초월할 수는 없다는 것이 지도부의 입장입니다.

실제로 과거에도 후보가 주도적으로 선거를 이끌었지만, 당의 공식 절차와 의결기구를 무시할 수는 없었습니다.

 

지금 당무우선권 논란이 커졌나?

이번 논란의 핵심은 '단일화 주도권' '선거 전략의 컨트롤'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자신의 리더십과 전략을 바탕으로 선거를 이끌고 싶어 하고,

지도부는 전체의 이해와 절차를 중시합니다.

특히 조기 단일화 압박, 사무총장 인선 등에서 갈등이 표면화되며, 후보가 '당무우선권' 카드를 꺼내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과거에도 여러 반복됐습니다.

2021 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 간에도 당무우선권을 둘러싼 신경전이 있었고,

이명박·박근혜 후보 시절에도 후보와 지도부 간의 '힘겨루기' 있었습니다.

 

결론: 당무우선권, 후보의 리더십과 당의 균형

정리하자면, 당무우선권은 대선 후보가 당의 선거 전략과 핵심 의사결정을 주도할 있도록 부여된 강력한 권한입니다.

김문수 후보가 권한을 '발동'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단일화 협상이나 인사 문제 등에서

자신의 리더십을 확실히 행사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하지만 권한이 무제한적으로 행사될 수는 없고,

당헌·당규 당내 민주적 절차와의 조화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권한 다툼이 아니라,

대선 국면에서 후보와 당이 어떻게 힘을 조율하며 승리를 향해 나아갈지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반응형

댓글